Q. 사교육은 필요한가요?
A. 어느 정도의 사교육(학원, 과외, 학습지 등)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공교육을 무너뜨리는 사교육은 절대 있을 수 없고요, 공교육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교육은 존재할 수 있으며, 공교육을 더욱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사교육은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간혹 학원이나 과외로 이미 다 배운 내용이라며 학교 수업을 등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학교 수업과 학생 스스로의 자습, 이 두 가지는 필수적인데, 그 두 가지만으로 놓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교육이 존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학교 수업 정말 열심히 들어야 합니다.
Q. 학원 수업은 많을 수록 좋은가요?
A.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 동안 수업을 듣느라 하루의 상당부분 시간을 보내고, 방과 후에는 또 학원에서 연속으로 수업을 들으면서 매일 밤 늦게까지 시간을 보낸다면, 자기 혼자 공부할 시간이 전혀 없어지는 문제가 있겠지요. 그것은 마치 학원에서 선생님이 수학문제 푸는 것 구경할 땐 정말 잘 풀린다고 생각했는데, 자기 스스로 해보니 잘 안 풀려서 시험을 망친다거나, 또 학원 선생님이 영어 지문 해석할 때 쉽다고 느꼈는데, 자기 혼자서 해석해보니 너무 어려워서 문제를 못 푸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로 서울 강남 대치동에 이런 살인적인 학원스케줄을 소화해내며 하루하루 버티는 학생들이 많이 있던데, 너무 많은 학원 스케줄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Q. 학원 수업은 왜 소수정예가 좋은가요?
A. 학원에서 다수를 모아놓고 수업을 하다보면 아무래도 학생들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진도 나가기에만 급급할 수 있겠지요. 한 Class 당 인원이 10명 이상 있다보면 질문 한번 하기 힘든 수업이 되고, 차라리 인터넷 강의 듣는 게 낫겠다는 학생들이 나오게 됩니다. 수준이 맞는 학생들끼리 3~4명 정도, 많아도 6명 이내가 되어야 조금 자유롭게 질문도 하고 각자 자신이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배울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서울 강남 대치동 학부모님들은 한 반에 6명이 넘으면 잘 안 보내려는 경향까지 생겨났나봅니다. (다만 재수생 학원의 경우는 제외)
Q. 선행학습은 필요한가요?
A. 기초가 부족한 학생들에게 과거에 배웠던 것들을 복습하는 게 필요한 것처럼, 잘 하는 학생들에게 미리 앞서서 학습하게 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고등학교 수학은 양도 많고 문제도 어려워지기 때문에 미리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힘들어하고 흥미를 잃거나 포기하게 되는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방학을 이용하여 미리 공부해 두고, 학기중에는 심화학습으로 쉬운 문제부터 어려운 문제까지 충분히 연습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선행학습 전혀 없이 학기중에 학교에서 배우고 난 뒤 짧은 시간안에 완전학습이 되어 시험 성적으로 반영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Q. 학생들 성적 향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A. 좋은 교재, 좋은 학원, 좋은 선생님... 다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의 본인의 마음가짐입니다. 전쟁에서도 사기가 중요하듯이, 학생의 뚜렷한 목표와 열심히 하는 마음은, 수많은 공부할 분량과 어려운 내용, 그리고 힘든 문제풀이 과정도 극복하게 만들어줍니다. 모쪼록 이 글을 읽으시는 학부모님들이나 학생들에게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화이팅!!!!
한 상 혁 010-8702-1519 혁 수학
학원과 자습의 활용 (0) | 2015.04.30 |
---|---|
문제집을 풀 때 (0) | 2015.04.24 |
고1 수학 스케줄 (0) | 2015.02.10 |
[샘플영상] 수학1 문제풀이 (0) | 2015.01.17 |
1등급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교재 추천 (0) | 201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