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진정한 선행학습에 대하여...

공부 이야기

by 혁 수학 2016. 4. 5. 02:42

본문



  영주에 있는 중학교에 다니던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진학하고 난 뒤, 대부분 크게 충격을 받습니다. 첫째로 고등학교에서 공부할 분량에 한번 크게 놀라고, 둘째로 모의고사 성적표를 보고 자신의 위치(등급)에 또 놀랍니다. 예를 들면, 중학교 때까지 수학 100점을 놓치지 않았는데, 전국연합 모의고사를 쳐보니 2등급도 아닌, 3등급이 나와서 경악을 금치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솔직히 영주에서 중학교 때 웬만큼만 열심히 공부하면 90점~100점 정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등학교 때부터는 공부할 양도 갑자기 늘어나고 문제도 급격히 어려워져서, 처음엔 적응이 잘 안 될 겁니다. 그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고등학교 수학을 미리 접해보고 어렵다는 것을 빨리 깨달아야 하는 것입니다. 미리 충격받고, 미리 고민하고, 미리 자신만의 대처방안으로 준비해야만 실제 고등학교 가서 무너지지 않고 성적을 잘 유지해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고등학교 가서 수학 모의고사 치러보면, 쉬운 문제들은 곧잘 풀리지만 어려운 문제들은 정말 어렵습니다. 기본기부터 철저하게 익히고 심화문제까지 충분히 연습하고 들어가지 않으면, 1~2등급은 머나먼 남의 이야기가 되어버립니다. 선행학습으로 잘 다져진 학생이 아니라면 1등급은 정말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처럼 느껴질 겁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선행학습을 해야 할까요? 무조건 진도만 빨리 나간다고 해서 절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학원에서 어디어디까지 선행학습 했다며 이야기하는 학생들 중에 교과서에 나와 있는 기본적인 문제도 제대로 못 푸는 학생이 태반입니다. 미리 배우긴 했는데 오래되서 다 까먹었다고 하거나, 잘 몰라도 학원에서 진도를 너무 빨리 나가서 그냥 수박 겉핥기식으로 배운 경우입니다. 학원에서 선행학습 해봐야 아무 소용 없다면서, 아예 선행 하지 말라고 하시는 학부모님들도 계십니다.

  우리 학원에서는 선행학습을 감당할 수 있는 상태의 학생들에게만 선행을 시킵니다. 기초가 부족한 학생에게 무리하게 선행을 시키지 않습니다. 오히려 취약한 부분이 있는 학생은 후행학습으로 기본부터 확실하게 다지고 나갑니다. 대신 선행학습을 할 학생들에게는 제대로 선행으로 나갑니다. 미리 배워서 맛만 보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되며, 어디까지 선행했다고 서로서로 속도전이 되어 친구들이나 다른 학부모에게 자랑하는 것은 나중에 폭탄이 되어 돌아옵니다.

 

  우리 학원에서 수학 선행학습한 구체적인 사례로,

1) 영주중학교의 한 학생은 중2 여름 때 처음 선행학습을 시작하였고, 실제 중3이 되기 전까지 중3 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그리고 지금 실제 중3인데, 고1 전국 모의고사로 테스트해보아도 1등급이 나옵니다.

2) 동산여자중학교의 한 학생은 중2 때부터 고1 과정을 학습하였는데, 고1 전국 모의고사로 테스트해보면 100분동안 30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50분만에 거의 다 풀고 푼 문제만 가지고 채점해 보아도 1등급이 나옵니다.
3) 자사고에 진학한 고1 학생 한 명은 고2 모의고사로 테스트해보아도 만점이 나옵니다. 

  또한 후행학습 사례로,
1) 영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기초가 부족해서 고1 과정부터 다시 복습을 철저히 했더니, 모의고사 성적이 두 등급이나 올랐습니다.
2) 중3에서 고1 올라가는 학생이 기초가 너무 부족해서 선행학습 대신 중학교 전체 과정을 복습하였더니, 고등학교 진학 후 상위권에 진입하였습니다.


  요즘 선행학습이 유행이지만, 잘못된 선행은 분명 독이 되며, 각 학생에게 맞는 방법으로 학습해야 하는 것입니다. 고등학교 가면 공부할 양이 많아서 중간, 기말고사 준비만 해도 할 게 많습니다. 수행평가도 해야 하고, 거기다 동아리활동, 독서 등 비교과활동도 해야 하고, 봉사활동도 해야 하고, 너무나 시간이 부족합니다. 중학교 시절에 고등학교 과정을 조금만 미리 학습해도 정말 큰 힘이 됩니다. 다만 그런 선행학습을 잘못 배우다보면 안 하니만 못한 것이 되겠지요. 올바른 선행학습을 통하여 빛나는 고등학교 시절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

'공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하기로 마음 먹은 청소년들에게  (0) 2016.08.23
모의고사 수학 100점  (0) 2016.07.18
수학 1등급 전략  (0) 2015.08.20
수학의 즐거움  (0) 2015.07.27
집중의 힘  (0) 2015.06.23

관련글 더보기